“아토피피부염 증상완화위해 주거환경개선 필요” > 자료실/보고서/칼럼

본문 바로가기

자료실/보고서/칼럼

칼럼 “아토피피부염 증상완화위해 주거환경개선 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작성일 2017-04-30

본문

“아토피피부염 증상완화위해 주거환경개선 필요”

남상오 주거복지연대 상임대표

일반적으로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비염, 천식 등 아토피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비중이 높다. 2012년 19세이상 의사진단 유병률을 근거로 발표한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은 2.4%(’07년)에서 3.2%(’12년), 알레르기성 비염은 1.2%(’98년)에서 16.8%(’12년), 천식은 1.2%(’98년)에서 2.7%(’12년) 늘었다. 아토피질환 진료환자 수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4,955,304명에 이른다.

아토피질환은 가정과 사회에 막대한 부담을 야기하는 만성질환으로서, 정부와 지자체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사회문제이다. 하지만 예산과 전문인력이 충분하지 않다. 환경보건에 대한 정책우선순위도 그리 높지않다. 서울시의 경우 아토피 전체예산이 4억원에 불과하다. 그것도 2억은 정부보조금이 보태진 것이다. 이러다보니 자치단체 보건정책 담당자나 수요자들로부터 아토피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제공, 교육 및 홍보사업의 효과성, 아토피질환자에 대한 실태조사와 체계적인 관리,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사업과 전문인력보충, 부서간 협력체계 및 사업간 연계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등에 대한 요구가 많지만 실제 이루어지는 것은 예방관리 및 낮은 수준의 서비스지원에 그치고 있다.

현재 아토피와 관련이 있는 환경정책은, 보건복지부의 경우 예방 및 진단, 치료사업을, 환경부는 환경성질환 조사감시 및 관리와 실내환경진단 개선사업 등을, 국토부는 건강친화형 공동주택건설기준 관련정책을 수립, 집행하지만 대체로 기준마련 및 예방관리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일부 아토피개선 예산계획사업도 있다. 환경부가 하고 있는 사회취약계층 실내환경진단 개선사업이 그것이다. 2014년 10억여원을 들여 사회취약계층의 거주공간에 대한 생활환경 유해인자 점검-이산화탄소, 미세먼지,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HCHO), 곰팡이, 집먼지진드기 및 컨설팅과 아토피질환 어린이거주 200가구에 대해서는 도배, 장판, 페인트 등 친환경자재 시공과 단열 및 창호, 난방물품설치 및 교체, 친환경가구교체 등을 진행한 바 있다. 주거환경개선과 꾸준한 예방관리 환경교육을 시행할 경우 환자들의 아토피피부염 증상이 평균 27.2점에서 평균 9.8점으로 감소하는 등 뚜렷이 완화되는 보고가 있다. 경기도도 ‘아토피없는 경기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아토피성질환 예방관리를 통한 삶의질 향상,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정책, 취약계층 서비스강화를 목표로 5대전략 25개 세부과제를 제시하였다. 아토피예방정책 기반강화, 어린이가 건강한 생활환경조성 및 취약계층 서비스강화, 아토피치유거점 네트워크 구축, 아토피 연계 지역산업 육성 및 일자리창출, 제도적 기반구축 등이 주요내용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1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아토피없는 건강한 학교만들기, 취약계층 아토피 케어서비스강화, 아토피안심마을조성사업을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아토피가 부모로부터 오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겠지만 환경적으로 오는 것은 우리사회가 나서서 민감·취약계층을 우선적으로 치료를 돕는데 나서야 한다. 아토피질환의 발생과 악화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으로는 공기 및 수질오염, 기후변화, 화학물질, 흡입 및 식품알레르겐,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등이 있다. 특히 하루중 거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어린이, 노약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은 매우 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2020 (사)주거복지연대. All rights reserved | Design by i@mplus